건강한 간헐적 단식을 위한 주의 사항 꼼꼼히 챙기기!
안녕하세요~ 도리앤토리입니다.

꽃샘 추윈가요??? 설마 겨울이 다시 오는 건 아니죠??? ㅎㅎㅎ
오늘은 건강한 간헐적 단식을 위해 몇가지 주의할 점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전에도 언급했지만 간헐적 단식은 몸 속 독성물질들을 해독하고 세포들을 정상화 시켜서 건강한 몸으로 되돌려 놓는 과정인데요.
그 과정에서 오는 최대의 효과는 아무래도 다이어트입니다.
앞으로 언급할 주의 사항들을 꼭 기억하셨다가 다이어트 효과를 극대화시켜 보시기 바랍니다. ^^
간헐적 단식 시 주의사항
첫번째, 자유롭게 먹자. 하지만 폭식은 하지 말자.
일명 간헐적 폭식이라고 하지요??
허용된 식사 시간에 공복감이나 단식 시간 동안의 공복을 느끼기 싫은 마음 때문에
급하게 많은 양의 음식물을 섭취할 경우
인슐린이 빠르게 증가하게 됩니다.
이것은 간헐적 단식의 효율을 떨어뜨려 공복으로 인해 영양을 축적하려는 신체 떄문에
오히려 다이어트에 역효과가 생긴답니다.
식사는 야채, 고기, 밥 순서로 천천히 먹고
식전 20분에 애사비를 먼저 한 잔 마시면 포만감을 줄 수 있어 과식을 피할 수 있답니다.
두번째, 본격적으로 다이어트를 원한다면 다이어트식으로 진행하자.
위에 서술한 첫번째와 맥락을 같이 합니다.
간헐적 단식을 한다고 해서 식사 시간에 너무 자유로운 식사는 오히려 다이어트를 방해합니다.
실제로 간헐적 단식을 하는 사람들 중에 키토제닉 식단을 병행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키토제닉 식단은 일명 저탄고지 식단으로 탄수화물의 양을 최대한 줄이고 지방 위주로 채운 식단을 말합니다.
세번째, 식사 시간 외에는 물과 소금, 소량의 미네랄 이외에 어떤 것도 먹지 말자.
간헐적 단식의 핵심은 단순히 식단 관리를 통해 칼로리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몸을 공복 상태로 만들어서 체내의 탄수화물 기반의 에너지원을 모두 소모시키는 것에 있습니다.
흔히들 인슐린 저항성을 낮추어 준다라고 말하죠.
완전한 공복 상태는 세포의 자가포식(오토파지)을 촉진시킵니다.
아래글 참고 바랍니다. ^^
적은 양이라도 탄수화물 기반 에너지원이 다시 공급되면 몸은 지방 연소를 시작하지 않아
간헐적 단식의 의미가 없어지게 되는 것이죠.
네번째, 적당한 운동을 병행하자.
단식을 하게 되면 근육량도 필연적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이 때문에 단식 기간에 근육 운동을 하여 근손실량을 줄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단순하게 체중 감량만을 위해서라면 식전에 유산소 운동을 해주는게 효율적이고
체지방을 감량할 때 근손실을 최소화 시키고 싶다면 식후에 강도 높은 무산소 운동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다섯번째, 수분을 자주 섭취하자. 단, 물로 마시자.
가끔 공복에 커피나 대체 음료를 마셔도 되는지 궁금해하시는 분이 있습니다.
제 경험상 그냥 물만 마시길 권합니다. ㅎㅎ
그래도 궁금하다 하시는 분들은 단식 시에 하나씩 자신에게 직접 적용해 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각자의 대사 상태나 체질이 다르기 때문에 남들과 똑같이 할 필요는 없습니다.
간헐적 단식을 한 달 정도 유지하다 보면 자신의 몸을 자연스럽게 관찰하게 됩니다.
그 과정에서 자신의 몸에 맞는 단식 방법도 찾게 된답니다.^^
.
.
.
.
.
오늘은 간헐적 단식 시 주의 사항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저의 경우에는 첫번째는 가끔 못 지킬 때가 있습니다만 세번째, 네번째, 다섯번째는 꼭 지킨답니다.
저는 체중에 별로 변화가 없는 사람입니다만
두 달 간의 간헐적 단식이 지나고 군살과 나잇살이 정리되면서 1-2kg 정도 감량이 되었답니다.
주의 사항 꼭 확인하시고 효율적이고 건강한 단식 & 다이어트하시길 바랄께요. ^^
내일 또 새로운 이야기로 찾아 오겠습니다.

'건강 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헐적 단식 시 도움이 되는 식단 ; 키토제닉 식단 (10) | 2024.03.10 |
---|---|
평소에 물을 충분히 마시고 계신가요?? (2) | 2024.03.09 |
간헐적 단식 시 좋은 간식 ; 삶은 계란 (4) | 2024.03.07 |
간헐적 단식 두 달 ; 내 몸의 변화를 이야기해 보자. (10) | 2024.03.06 |
배고플 때 나는 꼬르륵 소리에 귀 기울이세요! (0) | 2024.03.05 |